리플사가 22일 엑스알피 원장(XRPL)의 새로운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은 금융기관과 대기업의 블록체인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기관 중심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리플이 선보이는 버전 3.0의 핵심은 네이티브 대출 프로토콜이다. 단일 자산 금고(SV)를 통해 대출 기관들은 자산을 집중해 신용을 발행할 수 있으며, 오프체인 위험 모델을 유지하면서도 유동성 관리와 대출 내역을 블록체인상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서는 영지식증명(ZKP) 도구를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거래 내역의 전체 공개 없이도 감사와 규제 확인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기업 재무제표 열람 없이도 준비금 보유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시행 중인 규정 준수 도구로는 디지털 신원 인증을 연결하는 '크리덴셜스', 의심 계정 자산을 동결하는 '딥프리즈', 거래 사전 시험이 가능한 '시뮬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리플은 다목적 토큰(MTP)을 새롭게 도입한다. 이 토큰은 채권, 부동산, 펀드 주식 등 복잡한 자산의 온체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만기일과 제한 조건 등 기본 로직을 포함해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부담을 경감시킨다.
리플은 현재 매월 10억 달러 이상이 XRP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에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로드맵이 화려한 기능보다는 기관 참여의 실질적 장애물을 제거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기능들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기관 사용이 확대된다면 XRPL이 차세대 금융 블록체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
리플이 선보이는 버전 3.0의 핵심은 네이티브 대출 프로토콜이다. 단일 자산 금고(SV)를 통해 대출 기관들은 자산을 집중해 신용을 발행할 수 있으며, 오프체인 위험 모델을 유지하면서도 유동성 관리와 대출 내역을 블록체인상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서는 영지식증명(ZKP) 도구를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거래 내역의 전체 공개 없이도 감사와 규제 확인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기업 재무제표 열람 없이도 준비금 보유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시행 중인 규정 준수 도구로는 디지털 신원 인증을 연결하는 '크리덴셜스', 의심 계정 자산을 동결하는 '딥프리즈', 거래 사전 시험이 가능한 '시뮬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리플은 다목적 토큰(MTP)을 새롭게 도입한다. 이 토큰은 채권, 부동산, 펀드 주식 등 복잡한 자산의 온체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만기일과 제한 조건 등 기본 로직을 포함해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부담을 경감시킨다.
리플은 현재 매월 10억 달러 이상이 XRP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에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로드맵이 화려한 기능보다는 기관 참여의 실질적 장애물을 제거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기능들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기관 사용이 확대된다면 XRPL이 차세대 금융 블록체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