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대통령 장남 측근 고용해 백악관 공략…야당 "암호화폐 범죄자 특혜" 맹비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오창펑(赵长鹏·CZ) 바이낸스 前 최고경영자(CEO) 사면 배경에 100억원대 로비 자금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26일(현지시간) 바이낸스 측이 수개월간 트럼프 행정부 측근을 상대로 대규모 로비를 벌인 끝에 사면을 얻어냈다고 보도했다.트럼프 장남 측근 고용…"한 달 만에 6억원"
보도에 따르면 자오창펑은 지난해 자금세탁방지법(AML) 위반으로 4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은 뒤 곧바로 사면을 위한 로비에 착수했다.
바이낸스는 지난해 9월 말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의 측근인 체스 맥도웰과 그가 운영하는 로비회사 '체크메이트 정부관계(Checkmate Government Relations)'를 고용했다. 체크메이트는 백악관과 재무부를 상대로 '행정 구제(administrative relief)' 로비를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그 대가는 상당했다. 체크메이트는 바이낸스로부터 한 달간 45만 달러(약 6억 4000만원)를 받았으며, 최근 3개월간 총 710만 달러(약 102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SEC 의장 후보까지 영입…총 로비 비용 200억 원 육박
바이낸스의 로비 전략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인 올해 2월에는 당시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 후보로 거론됐던 테레사 구디 기옌을 자문으로 영입했다. 그녀가 운영하는 회사는 올해 바이낸스와 자오창펑으로부터 29만 달러(약 4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폴리티코는 바이낸스가 2022년에도 로비 활동에 100만 달러(약 14억원) 이상을 지출했으며, 올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만 86만 달러(약 12억 원)를 추가 투입했다고 전했다. 최근 수년간 투입된 로비 자금만 200억원에 육박하는 셈이다.
"암호화폐 범죄자 특혜"…美 야당 맹비난
美 야당인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사면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맥신 워터스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소속 의원은 "암호화폐 범죄자들에게 주어진 엄청난 호의"라며 "끔찍하지만 놀랍지 않은 결정"이라고 성토했다.
워터스 의원은 자오창펑이 법정에서 유죄를 인정한 인물임을 강조하며 "로비 자금으로 사법정의를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그는 바이든 행정부에 의해 정치적으로 박해받았다"며 "그가 한 일은 애초에 범죄도 아니다"라고 반박하며 사면을 정당화했다.
자오창펑(CZ)은 2023년 11월 바이낸스 CEO 직에서 물러나며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혐의를 인정했다. 당시 바이낸스는 43억 달러(약 6조 원)의 벌금을 납부하는 데 합의했으며, 자오 개인도 5000만 달러(약 717억 원)의 벌금형과 함께 4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지난해 9월 형기를 마치고 출소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