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더리움, 고래 매도와 ETF 유출에 하락 압력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1만~10만 이더리움(ETH)을 보유한 고래의 미실현 이익이 2021년 정점 수준에 도달했다고 18일 밝혔다. 같은 날 현물 이더리움 상장지수펀드(ETF)에서는 189만 달러(한화 26억 2,426만 원)가 순유출됐고, 씨티그룹(Citigroup)은 연말 ETH 가격을 4,300달러(한화 597만 550 원)로 전망하며 최악의 경우 2,200달러(한화 305만 4,700 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 블랙록, 이더리움 추가 매수…가격 5,000달러 돌파 기대
18일 웨일 인사이더(Whale Insider)에 따르면 블랙록(BlackRock)은 이더리움(ETH) 5,756개를 2,640만 달러(한화 366억 5,640만 원)에 매수했다. 앞서 블랙록은 이더리움 4,400개 이상을 매도했으나 하루 만에 다시 매입에 나섰으며, 같은 날 비트코인(BTC) 1,294개도 1억 5,180만 달러(한화 2,107억 7,430만 원)에 사들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발표한 이후 ETH 가격은 4,600달러(한화 2,107억 7,430만 원) 대에 거래되며 5,000달러(한화 2,107억 7,430만 원)돌파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 그레이스케일, 4만 개의 이더리움 이동…SEC 스테이킹 규제 시험대 오르나
19일,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은 이더리움(ETH) 4만 개를 전송하며 스테이킹 준비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스테이킹을 상장지수펀드(ETF)에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 중인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승인 시 기관 수요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트러스트는 106만 개 이상의 ETH를 운용 중이며, 일부 분석가는 스테이킹 기능이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1만~10만 이더리움(ETH)을 보유한 고래의 미실현 이익이 2021년 정점 수준에 도달했다고 18일 밝혔다. 같은 날 현물 이더리움 상장지수펀드(ETF)에서는 189만 달러(한화 26억 2,426만 원)가 순유출됐고, 씨티그룹(Citigroup)은 연말 ETH 가격을 4,300달러(한화 597만 550 원)로 전망하며 최악의 경우 2,200달러(한화 305만 4,700 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 블랙록, 이더리움 추가 매수…가격 5,000달러 돌파 기대
18일 웨일 인사이더(Whale Insider)에 따르면 블랙록(BlackRock)은 이더리움(ETH) 5,756개를 2,640만 달러(한화 366억 5,640만 원)에 매수했다. 앞서 블랙록은 이더리움 4,400개 이상을 매도했으나 하루 만에 다시 매입에 나섰으며, 같은 날 비트코인(BTC) 1,294개도 1억 5,180만 달러(한화 2,107억 7,430만 원)에 사들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발표한 이후 ETH 가격은 4,600달러(한화 2,107억 7,430만 원) 대에 거래되며 5,000달러(한화 2,107억 7,430만 원)돌파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 그레이스케일, 4만 개의 이더리움 이동…SEC 스테이킹 규제 시험대 오르나
19일,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은 이더리움(ETH) 4만 개를 전송하며 스테이킹 준비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스테이킹을 상장지수펀드(ETF)에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 중인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승인 시 기관 수요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트러스트는 106만 개 이상의 ETH를 운용 중이며, 일부 분석가는 스테이킹 기능이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