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스테이블 코인 규제 토대로 매도 시행"
중국 정부가 홍콩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폐를 매도, 홍콩 암호화폐 시장 활성화에 나선다.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 당국은 홍콩 거래소를 통해 당국이 압류해온 암호화폐를 매도, 이를 통해 홍콩을 아시아 암호화폐 유동성 허브로 부상시킬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4일 보도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중국 내 암호화폐 전면 금지라는 정책에 반해 홍콩을 암호화폐 주요 시험대로 삼고 있다. 홍콩 당국은 2023년 암호화폐 시장을 재개방한데 이어 현재까지 추가 규제안 설립을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을 발전시키고 있다.
중국이 현재 부상 중인 홍콩 암호화폐 시장에 보유하고 대규모 물량을 노출시킨다는 소식이다. 중국 정부는 세계 암호화폐 보유량에서 2위다.
구체적인 매도 방안으로 중국 정부는 8월부터 홍콩 금융관리국에서 시행되는 스테이블 코인 규제를 토대로 암호화폐 매도를 시행, 홍콩 암호화폐 시장 내 유동성을 전략적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구체적으로 자금세탁방지(AML)와 테러자금조달방지조례(AMLO)를 포함, 홍콩 규제 체계를 기반으로 암호화폐 매도에 나선다고 전했다.
조슈아 추 홍콩 웹 3.0 협회 공동 의장은 "중국이 압류한 암호화폐를 홍콩 허가 거래소에서 청산하면 시장에 실질적인 유동성이 공급된다"며 암호화폐 청산은 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준수를 넘어 가격 조정과 시장 안정화라는 전략적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이 비트코인(BTC) 보유 중심의 '보유 전용' 정책을 고수하는 반면, 중국은 홍콩을 통해 유동성을 적극 공급하며 시장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