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매경 기자들 '100억대 선행매매' 적발…"가상자산 시장은 감독 사각지대"

블록스트리트 등록 2025-07-04 18:19 수정 2025-07-05 09:50

'기사 쓰고 주식 사고' 기자들의 검은 카르텔
가상자산 시장, 불공정거래 이미 만연 즐비

영화 '내부자들'의 한 장면
영화 '내부자들'의 한 장면
금융당국과 경찰이 매일경제 기자들의 대규모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수사를 확대하는 가운데,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내부자 거래와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독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서울경찰청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매일경제와 파이낸셜뉴스를 포함 총 4곳의 주요 경제지 기자들의 100억 원대 선행매매 혐의가 포착돼 수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서울대 학연을 중심으로 한 재계 출입기자들이 내부 정보를 활용해 조직적으로 주식거래를 한 정황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기자는 수백 건의 온라인 기사를 작성하며 주가에 영향을 미친 뒤, 이를 활용해 연간 4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기자는 최근 해고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매일경제 내부에서도 이번 사건에 연루된 기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경찰청은 매일경제와 파이낸셜뉴스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으며, 관련 기자들에 대한 추가 조사도 진행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피의자가 기자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며칠 내로 수사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통 금융시장에서 발생한 이번 사건은 새롭게 부상하는 가상자산 시장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24시간 거래되는 가상자산 시장의 특성상 불공정거래의 위험이 더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건은 전통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시장에도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실제로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거래소 관계자와 주요 투자자들 간의 내부자 거래나 시세조종(MM), 상장피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규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미비한 실정이다.

가상자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시장 투명성 확보가 필수이며, 금융당국의 체계적인 감독과 함께 업계의 자정 노력도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감독원은 현재 경제지 기자들의 선행매매 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향후 가상자산 시장의 불공정거래 감시도 강화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 사건은 전통 금융시장과 가상자산 시장 모두에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감독 체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가상자산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규제·감독 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특히 국경을 초월한 거래가 가능한 만큼, 국제 협력을 통한 감독 체계 구축도 필요하다.

한편, 경찰은 이번 선행매매 사건과 관련해 수사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며,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 금융권 관계자들의 연루 여부도 조사하고 있다.

최주훈 joohoon@blockstre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