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 피겨 스테이블코인 YLDS 지원
수이(SUI)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대출 플랫폼 피겨(Figure)의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인 YLDS의 발행을 지원한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전했다. YLDS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증권으로 등록된 바 있다. YLDS의 온·오프램프와 수이 생태계 댑인 딥북(DEEP)에서의 디파이도 지원된다.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수이(SUI)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대출 플랫폼 피겨(Figure)의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인 YLDS의 발행을 지원한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전했다. YLDS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증권으로 등록된 바 있다. YLDS의 온·오프램프와 수이 생태계 댑인 딥북(DEEP)에서의 디파이도 지원된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2018년 몰타 자선 단체에 기부한 20만 달러 상당 BNB의 현재 가치가 3,700만 달러에 달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바이낸스는 몰타 소재 암 치료 자선단체 MCCF에 BNB를 기부했지만, 양사의 최종 거래 계약 불발로 현재까지 해당 자금은 동결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낸스는 2021년부터 MCCF에 환자 정보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공유해달라고 요구해왔지만, MCCF가 이를 거부하며 이들의 거래는 결렬됐다. 사실상 3,700만 달러 규모의 기부금에 아무도 접근하지 못하는 '동결'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2021년 바이낸스는 MCCF와 잠재적 해결책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지만, 이후 아무런 소식도 업데이트되지 않고 있다.
블랙록 최고경영자 래리 핑크가 아이쉐어스 등 장기 투자 상품의 토큰화를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쉐어스는 블랙록의 ETF 브랜드다. 그는 "현재까지 암호화폐, 스테이블코인 및 토큰화된 자산 전반에 걸쳐 약 4조5000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암호화폐 월렛에 보관돼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알트코인 기반 암호화폐 재무전략(DAT)을 구사하는 기업들이 지난주 하락으로 대규모 미실현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고 비인크립토가 전했다. 솔라나(SOL)에 집중 투자하는 포워드인더스트리(FORD)는 약 2억4500만 달러,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에 집중 투자하는 ALT5 시그마(ALT5)는 3억 달러, 이더리움(ETH)에 투자하는 비트마인(BMNR)은 약 20억 달러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체는 "알트코인 기반 DAT를 추진하는 기업들은 자금 압박에 따른 마진콜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시장에도 DAT 모델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엘리시아(EL)가 김치프리미엄을 활용한 차익거래 솔루션 김프봇(Kimp Bot)과 김치프리미엄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공식 X를 통해 전했다. 엘리시아는 "김프봇은 김치프리미엄을 활용한 완전 자동화 봇으로, 환헤지 API를 지원하고 실시간 분석 기능을 제공하며 원화 입금 인증과 차익거래 등이 완전 자동화됐다.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보유만으로도 김치프리미엄 차익을 자동으로 얻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알파가 LAB을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당초 14일 19시 LAB 토큰공개이벤트(TGE)를 예고했지만 기술적 문제로 연기한 바 있다.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가 스텔라루멘(XLM) 현물 가격에 연동되는 위즈덤트리 피지컬 스텔라루멘 ETP를 유럽에서 출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해당 상품은 스위스 증권거래소 식스(SIX), 유로넥스트에 상장됐으며 오는 10월 15일(현지시간)에는 독일 증권거래소 제트라(Xetra)에도 상장될 예정이다.
크립토퀀트 애널리스트 마르텐 레테르쇼트(Maarten Regterschot)가 "온체인 데이터 기준 BTC의 다음 주요 지지선은 103,500 달러 부근"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10월 11일 시장 내 레버리지 포지션의 연쇄 청산으로 BTC 가격은 단기 보유자 실현 가격인 112,500 달러에 가까워졌다. 단 1개월 반 만에 해당 구간은 네 번째 테스트를 겪고 있는데, 이는 약세 신호에 가깝다. 단기 보유자 실현 가격은 신규 시장 참여자의 평균 매수 가격을 의미한다. 해당 지표 기준 다음 주요 지지선은 103,500 달러 부근"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2025년 강세장에서 BTC 가격은 항상 단기 보유자 실현 가격보다 약 10% 낮은 수준에서 바닥을 찾았다. 만약 강세장이 끝나지 않았다면, 해당 부근에서 BTC가 반등해 다음 단계를 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부연했다.
바이낸스 알파가 예이파이낸스(CLO)의 자체 토큰 CLO를 추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디파이언스캐피털 설립자 아서 청(Arthur Cheong)이 자신의 X를 통해 "10월 11일 폭락 당시 펀드가 일부 손실을 입었지만, 손익 변동 기준 다섯 손가락에도 꼽히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사태로 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에 대해 화가 나고 실망스럽다. 특히 해외 중앙화 거래소(CEX)에서 가격을 대부분 결정하는 알트코인 시장이 붕괴됐다"고 덧붙였다.
국회 정무위원회가 오경석 두나무 대표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을 철회했다고 블로터가 전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대상 국감에서는 가상자산 업계 인사가 참석하지 않게 됐다. 오경석 대표는 지난 9월 29일 전체회의에서 △금융정보분석원(FIU) 제재 관련 행정소송 △자금세탁방지 의무 위반 사례 △상장·상장 폐지 절차 불투명성 △대북 해킹 조직 라자루스 연루 의혹 등 사유로 증인으로 채택된 바 있다.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7.16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지난 11일 역대 최대 규모 강제청산 사태 직전 비트코인 숏 포지션에 진입, 내부자 거래로 수익을 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하이퍼리퀴드 고래가 현재 2148만 달러 규모 수익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해당 주소의 소유주를 사기 거래소 비트포렉스(BitForex)의 최고경영자(CEO) 였던 가렛 진(Garrett Jin)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고래는 현재 약 4400 BTC(48억4600만 달러) 규모 숏 포지션을 보유 중이다. 레버리지 비율은 10배, 진입 평단가는 11만 5,288 달러, 청산가는 12만 4,260 달러다.
지난 10월 11일 폭락 사태 당시 1.25 달러선까지 빠졌던 리플(XRP)이 2.7 달러선을 탈환하지 못한다면 다시 1.25 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크립토포테이토가 분석했다. 크립토포테이토는 "XRP는 XRP/USDT 일봉차트 기준 8월부터 관측됐던 하락 쐐기형 패턴의 지지선을 하방 돌파하며 강세 흐름이 무효화됐다. 이에 100일 및 200일 이동평균선은 이제 저항선으로 전환됐고, 상대강도지수(RSI) 역시 36 부근을 맴돌며 하방압력을 더하고 있다. 약세장 전환을 피하고 상승세로 돌아서려면 2.7 달러선 탈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솔라나(SOL) 기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의 지난주 수익이 1,800만 달러를 상회했다고 솔라나플로어가 전했다. 그중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863만 달러 이상 수익을 기록하며 가장 많은 매출을 올렸고, 액시엄(Axiom)이 323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바이낸스 월렛이 공식 X를 통해 10월 16일 17시부터 19시까지 아스트라노바(Astra Nova)의 자체 토큰 RVV의 프리 TGE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공지했다. 일정 수량 이상의 바이낸스 알파 포인트를 보유한 캠페인 참여자는 RVV 토큰 TGE 전 청약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인당 최대 3 BNB를 예치해 구독할 수 있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1,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0,938.7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서클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가 오는 2027년 약 220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할 수 있다고 번스타인이 전망했다. 번스타인은 "USDC는 미국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지니어스 통과에 따른 규제 준수 우위와 유동성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도 33%까지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테더의 USDT는 현재 시총 1800억 달러, 점유율 62%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USDC는 후발주자인 페이팔 PYUSD나 테더의 미국 자회사 USAT보다는 유동성 측면에서 앞서 있다. 오는 2035년이면 USDC의 총 공급량은 4조 달러에 달할 수 있다. USDC는 규제를 준수하는 만큼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늘릴 것이며, 오는 2027년이면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67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암호화폐 회의론자로 알려진 피터 시프 유로 퍼시픽 캐피털 CEO가 "지난 11일 비트코인 폭락은 매수 기회가 아니라 시장의 경고였다"고 X를 통해 전했다. 그는 "BTC의 다음 폭락 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에 글을 올려 구해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최근 현물 금 급등은 BTC가 디지털 금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BTC는 언제든지 바닥을 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낸스가 53번째 호들러 에어드롭에 일드베이시스(YB)를 선정, 10월 15일 20시(한국시간) YB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이번 상장에 시드 태그(다른 상장 토큰에 비해 더 높은 변동성과 위험을 가질 수 있는 토큰)가 적용된다. YB 총 발행량은 10억개로, 호들러 에어드롭에는 1000만 YB가 할당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