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CME XRP 선물, 출시 첫날 거래량 $150만

19일(현지시간) 거래를 시작한 CME XRP 선물 계약 거래량이 15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2,500 XRP 단위의 마이크로 사이즈 계약 거래량이 약 100만 달러, 50,000 XRP 단위의 계약 거래량이 약 48만 달러를 기록했다.

거래소 보유 ETH, 공급량의 4.9%...10년래 최저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유한 이더리움(ETH) 물량이 ETH 총 공급량의 4.9% 아래로 떨어졌다고 샌티멘트가 분석했다. 이는 10년 이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샌티멘트는 "지난 5년 간 거래소에서 1530만 ETH가 빠져나갔다. 거래소가 보유한 비트코인(BTC) 물량도 BTC 총 공급량의 7.1%로, 2018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ETH 현물 ETF 191억원 순유입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1370만 달러(약 191억원)가 순유입됐다. 2 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에서만 137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작년 하반기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1345조원 몰려

금융위원회가 20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 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국내 시장 가상자산 거래 규모는 1345조 원으로 전 반기(1087조 원) 대비 24% 늘었다고 뉴스1이 전했다. 같은 기간 국내 가상자산 시장 시가총액은 91% 증가한 107조 7000억 원을 기록했다. 일평균 거래 규모도 7조 3000억 원으로 24% 증가했으며, 거래가 가능한 이용자 수는 970만 명으로 전 반기보다 25% 늘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가상자산 거래소, 보관·지갑업자 등 25개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바이낸스, 美 법원에 '증권법 위반' 집단소송 중재 요청

바이낸스가 과거 제기된 증권 판매 관련 집단소송을 중재 절차(제3 기관에 사건을 맡겨 판단을 내리는 비공식적 해결 방식)로 회부해달라고 미국 연방법원에 요청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최근 뉴욕 연방법원에 제출한 서류에서 "2019년 자사 약관에 따라 모든 분쟁은 중재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집단소송을 제기할 수 없도록 규정돼 있다. 설사 법원이 2019년 이전 발생한 사건에 대해 중재를 인정하지 않더라도, 2019년 이후 발생한 모든 사건은 중재 대상이며, 집단소송 포기 조항이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소송은 2020년 4월 제기된 것으로, 집단소송 제기 측은 바이낸스가 당시 ICO 형태로 유통한 다수 토큰들이 미국 증권법상 증권에 해당함에도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며 문제 삼았다. 미국 법원은 2022년 3월 바이낸스의 본사가 미국에 없다는 점을 들어 해당 소송을 기각했지만, 지난해 3월에는 해당 판결이 뒤집혀 소송이 재개됐다.

믹스마블 모기업, 오픈AD와 파트너십...라인 미니댑 솔루션 제공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게임 퍼블리싱 플랫폼 믹스마블(MIX) 모기업인 갤럭시걸인터랙티브(GGI)가 탈중앙화 인앱 광고 솔루션 오픈AD(OpenAD)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웹3 미니게임 퍼블리싱을 발전시키고 게임 스튜디오 및 개발자에게 라인 미니댑용 트래픽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GGI는 광고 툴을 퍼블리싱 네트워크와 통합해 블록체인 게임 혁신을 주도하고, 오픈AD는 자체 탈중앙화 광고 솔루션을 웹3 미니게임에 적용할 예정이다. GGI 공동 창립자 제이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트래픽을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게임 커뮤니티가 웹3 공간에서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고 연결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도 블록체인 게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주도하고, 생태계 내 인디 스튜디오, 퍼블리셔 및 플레이어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로빈후드 CLO 연봉 $800만 초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와 로빈후드 최고법률책임자(CLO)가 지난 한 해 동안 800만 달러(한화 약 111억원)가 넘는 고액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코인베이스 CLO 폴 그레왈의 총 보수는 820만 달러를 초과했다. 로빈후드 CLO 다니엘 갤러거는 860만 달러가 넘는 보수를 수령했다.

빗썸, PROMPT 원화 마켓 상장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5월 20일 17시(예정) 웨이파인더(PROMPT)를 원화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민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필요"...21일 정책 토론회

더불어민주당은 21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산하 디지털자산위원회 주최로 '스테이블코인 정책 토론회'를 연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토론회에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도입 필요성 등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확산 문제와 관련한 대응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디지털자산위원장인 민병덕 의원은 "달러 자산의 침투를 막고, 원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고, 장려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며 "플랫폼과 생태계를 충실히 구축하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경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위믹스 투자자 3150명, 서울중앙지법에 공식 탄원서 제출

20일 위믹스투자자협의체는 지난 19일 총 3150명 투자자들의 정보를 모아 법원에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의 부당성과 제도 개선 필요성을 호소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고 이데일리가 전했다. 투자자협의체는 "이번 상폐 결정은 거래소 간 소통과 조율이 부족한 상황에서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닥사·DAXA)가 실질적인 상폐 권한을 행사하며 내려진 일방적인 조치였다”고 지적했다. 앞서 닥사는 신뢰성과 보안 문제를 이유로 WEMIX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한 바 있다. 한편, 위메이드 위믹스 재상폐 사건과 관련 심문기일은 오는 23일이다.

BTC 현물 ETF 9276억원 순유입

트레이더T에 따르면 5월 19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6억 6,654만 달러(9,276억원)가 순유입됐다. 4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IBIT에서만 3억 502만 달러가 순유입돼 전체 규모 증가를 견인했다. 피델리티 FBTC에 1억 8,808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 1억 5,525만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 1,602만 달러, 반에크 HODL에 744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반면 인베스코 BTCO에서 527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아브락사스 캐피털, $1.15억 ETH 추가 매집

영국 런던 자산운용사 아브락사스 캐피털(Abraxas Capital)이 3일 만에 46,295 ETH(1억 1,530만 달러)를 추가 매입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아브락사스 캐피털은 이달 7일부터 총 350,703 ETH(8억 3,700만 달러)를 평단가 2,386 달러에 매집했으며, 현재 5,000만 달러 미실현 이익을 기록 중이다.

분석 "BTC, 올해 $13.8만까지 상승 가능"

BTC가 올해 말까지 138,500만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1쉐어스(21Shares) 소속 애널리스트 맷 메나(Matt Mena)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개미 투자자들의 광풍이 촉발한 과거 상승장과 달리, 이번 랠리는 기관 자금 유입, 거시 경제 개선, 전례없는 공급 압박 등 구조적 요인에 기반하고 있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 완화는 새로운 상승 동력을 제공하며 BTC를 사상 최고가 근처로 밀어올리고 있다. 과거 BTC는 반감기 이후 6~12개월 사이에 큰 폭의 상승을 보여왔다. 이번 사이클에서 10배 급등은 어렵겠지만, 직전 고점인 69,000 달러의 2~3배 수준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캠프네트워크, SOON 스택 기반 ‘캠프 SVM’ 출시

레이어1 블록체인 캠프네트워크가 솔라나 옵티미스틱 네트워크 SOON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SOON 스택 기반 자체 블록체인 ‘캠프 SVM’을 공식 출시했다고 공식 채널을 통해 밝혔다. 이를 통해 온체인 IP의 도입을 본격적으로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캠프 SVM은 사용자가 소유한 IP를 기반으로 훈련된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위한 전용 레이어1 체인으로 해당 체인은 SNS 콘텐츠, 음악, 이미지, 개인 데이터 등 다양한 창작물을 온체인에 등록하고, 이를 PoP(Proof of Provenance) 프로토콜을 통해 토큰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한편 캠프네트워크는 최근 1Kx와 블록체인 캐피털이 주도한 시드 라운드에서 30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美 상원, 지니어스법 본회의 심의 위한 사전 표결 통과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법 지니어스(GENIUS) 본회의 심의를 위한 사전 표결(cloture)을 통과시켰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전했다. 해당 절차는 본격적인 법안 처리 전 단계로, 필리버스터를 차단하고 법안 토론에 착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절차다.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라이선스 취득, 100% 준비금 확보, 공시 의무 등을 부여하겠다는 안으로,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기준점이 될 수 있어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다. 이르면 이번 주 내 상원 본회의 표결을 통과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테렛은 "이제 지니어스법은 상원 토론 및 법안 수정 단계로 넘어가게 되며, 20일(현지시간) 혹은 21일 밤 표결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中 인민은행, 기준금리 7개월 만에 인하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사실상 기준금리로 취급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1년 만기 3%, 5년 만기 3.5%로 각각 10bp 인하했다고 밝혔다. 7개월 만의 금리 인하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21...전일比 3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일 대비 3 포인트 내린 21을 기록 중이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분석 "BTC, 쌍바닥 패턴 형성...이번 주 내 $11만 돌파 가능성"

비트코인이 쌍바닥 패턴과 함께 나타난 온체인 매집세를 바탕으로 이번 주 내 11만 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분석했다. 매체는 "BTC는 지난 4월 말 나타난 92,700 달러~97,900 달러 박스권 당시와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고점 형성 이후 쌍바닥 패턴이 형성됐으며, 가격이 107,000 달러를 상방 돌파하는 경우 전고점인 11만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도 높다. 다만 103,500 달러를 하방 이탈하는 경우 102,000 달러를 리테스트할 수 있다. 온체인상 매집세를 뜻하는 BTC 매집 추세 점수(Accumulation Trend Score)도 상승세를 지속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이퍼리퀴드 고래, 롱포지션 $1246만 수익 중

하이퍼리퀴드 고래 제임스 윈(James Wynn)이 BTC 40배 레버리지 롱포지션이 1246만 달러 수익을 기록 중이라고 엠버CN이 전했다. 다만 40분 전 그는 BTC 105,745달러에 189 BTC(약 2000만 달러)를 익절했다. 엠버CN은 "제임스 윈은 여전히 5,331 BTC(5.63억 달러)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다. 진입가는 $103,302, 청산가는 $97,897다. 그의 포지션 청산 여부가 시장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제네시스, 모회사 DCG 상대 $12억 규모 소송 제기

암호화폐 대출업체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이 모회사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을 상대로 12억 달러 규모 소송을 제기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제네시스는 "DCG 설립자 배리 실버트와 계열사들은 제네시스가 지급불능 상태인 것을 알고도 파산 직전 대규모 자산이체를 했다"고 주장하면서 당시 이체된 자산 중 최소 12억 달러는 회수 대상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또 DCG가 테라·루나 붕괴, 쓰리애로우캐피털(3AC) 파산, FTX 붕괴 등 암호화폐 시장 연쇄 충격에서도 제네시스는 안전하다고 호도했다고도 덧붙였다. 제네시스는 2023년 1월 FTX 붕괴 여파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을 신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