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코인베이스, 1Q 실적 부진·데리비트 인수... 애널 엇갈리는 평가

코인베이스가 데리비트 29억 달러 인수 계획과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1분기 매출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해당 거래소에 대한 애널리스트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의 1분기 매출은 시장 예상치(21억 달러)를 12% 하회한 20.3억 달러다. 거래 수익은 13억 달러로 19% 감소했다. 이에 따라 JP모건 등 월가 애널리스트는 수수료 하락 및 기관 투자 감소를 이유로 2분기, 연간 매출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스타인은 "데리비트 인수로 코인베이스는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미국 규제 당국의 암호화폐 옵션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거래 수익이 감소하는 가운데 스테이블코인 수익 성장 및 커스터디, 거래 기술과 같은 인프라 서비스 등 성장 동력이 수익의 핵심 축이 돼 변동성이 큰 시장 활동에 대한 헤지 역할을 할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NFT 프로젝트 두들스 "일부 에어드랍 월렛서 문제 발생... 해결 중"

NFT 프로젝트 두들스(Doodles)가 "일부 에어드랍 월렛에서 문제가 발생한 사실을 파악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공식 X를 통해 전했다.

200,000,000 USDT 이체... HTX → Aave

웨일 얼럿에 따르면, HTX 주소에서 Aave 주소로 200,000,000 USDT가 이체됐다. 2억 달러 규모다.

미 상원의원들, 재무부·법무부에 바이낸스-트럼프 관계 조사 요청

다수의 미국 상원의원이 재무부 장관 및 법무부 장관에 서한을 발송, 바이낸스와 트럼프 일가 암호화폐 프로젝트 간의 관계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워렌 등 상원의원들은 올해 3월 아부다비 투자사 MXG가 트럼프 일가의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1를 통해 바이낸스에 2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로인해 규정 준수 위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와 관련해 재무부 및 법무부에 오는 5월 21일(현지시간) 이전까지 △바이낸스의 플리바겐(Plea bargain, 유죄 인정 후 감형) 이행 진전 여부 △바이낸스의 미국 시장 철수 일정 △바이낸스 설립자 자오창펑에 대한 사면 논의 여부 등에 대해 답변서를 제출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앞서 바이낸스는 자금세탁방지법, 은행보안법, 국제비상경제권법 위반 등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고, 미국 재무부, 법무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총 43억 달러 규모의 벌금, 미국 시장 철수, 자오창펑 CEO 사퇴 등을 합의한 바 있다.

미국 헬스케어 상장사, $150만 SOL 매입

뉴욕증권거래소 아메리칸(NYSE American) 상장 헬스케어 기업 SPx 헬스 솔루션이 150만 달러 규모 SOL을 매입했다고 글로벌 뉴스와이어가 전했다. 해당 회사는 향후 현금흐름 및 보유 현금의 최대 10%를 BTC, SOL 등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다.

퀀텀 설립자 "다음 달 퀀텀AI 에이전트 출시"

퀀텀(QTUM) 설립자 패트릭 다이가 "퀀텀AI는 다음 달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출시할 예정이며, 네트워크에 토큰을 완전 통합할 것"이라고 X를 통해 전했다. 퀀텀AI는 인터체인형 에이전트 생태계를 지향한다는 설명이다.

코인베이스, BTC·ETH 연중무휴 선물 거래 지원

코인베이스 파생상품 거래소(Coinbase Derivatives Exchange)가 5월 9일(현지시간)부터 비트코인, 이더리움(ETH) 24시간 연중무휴 선물 트레이딩을 정식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규제를 준수하는 파생상품 거래소로는 최초다. BTC·ETH 선물 트레이딩 상품은 개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 모두에게 허용된다.

타이달 파이낸셜, BTC·금 롱-숏포지션 ETF 출시

미국 자산운용사 타이달 파이낸셜 그룹이 BTC와 금을 롱-숏포지션 구조로 구성한 ETF 2종 배틀쉐어스(Battleshares)를 출시했다고 블룸버그가 밝혔다. 해당 ETF는 BTC와 금을 비교해 직접적인 포지션을 취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투자자들은 두 자산 중 어느 쪽이 더 나은 헷지 수단인지 직접 베팅할 수 있으며 공매도, 스왑, 옵션 등 다양한 금융 기법을 활용해 운용될 예정이다.

테더 CEO "테더 월렛 개발 키트 테스트 중"

테더(USDT) 최고경영자(CEO) 파올로 아르도이노가 "테더 월렛 개발 키트(WDK)라는 이름의 비수탁형 월렛을 테스트 중"이라고 X를 통해 전했다. 이어 "테더 WDK는 원활한 브릿징과 가스 수수료가 필요 없는 트랜잭션 기능을 제공하며, API 없이 이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테더 WDK는 조만간 오픈소스로 공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비트, DOOD 무기한 선물 상장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DOOD/USDT 무기한 선물 거래 페어를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최대 12.5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아브락사스 캐피털, 2일 동안 $3억 ETH 거래소 출금

영국 런던 자산운용사 아브락사스 캐피털 추정 주소가 지난 2일 동안 거래소에서 138,511 ETH(2.97억 달러 상당)를 출금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24시간 전 대비 19.79% 오른 2,367.3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짐바브웨,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등록 시스템 도입

짐바브웨가 세계 최초로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 등록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짐바브웨는 지난주 탄소배출권 프로젝트 등록과 인허가를 담당할 탄소시장관리청을 설립했으며, 두바이 소재 A6랩스와 계약을 체결하고 블록체인 기반 탄소 등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출발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출발했다. S&P500: +0.35% 나스닥: +0.58% 다우: +0.19%

제미니, 유럽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라이선스 취득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가 유럽에서 파생상품 거래 확대를 위한 규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제미니는 몰타 금융서비스청(MFSA)으로부터 금융상품시장 지침 II(MiFID II) 라이선스를 확보, 유럽연합 전역에서 암호화폐 파생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됐으며 무기한 선물, 기타 파생상품 등이 포함돼 있다.

美 상원의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본회의 상정 불발, 정쟁 탓"

미국 상원에서 발의된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지니어스법(GENIUS)이 당파 정쟁으로 인해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팀 스콧이 상원 연설에서 "지니어스법이 혁신과 거래 비용 절감을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치적 분열이 이를 가로막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입법 성과를 저지하려는 의도가 작용했다"고 밝혔다.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라이선스 취득, 100% 준비금 확보, 공시 의무 등을 부여하겠다는 안으로,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기준점이 될 수 있어 업계에서 주목한 바 있다.

스테이크스톤, WLFI 스테이블코인에 크로스체인 유동성 지원

옴니체인 유동성 인프라 스테이크스톤(STO)이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의 스테이블코인 USD1의 크로스체인 유동성 지원을 시작했다고 공식 X를 통해 발표했다.

OKX, VRA·MEMEFI 무기한 선물 상장 폐지

OKX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5월 13일 21시(한국시간) VRA/USDT, MEMEFI/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브라질 증권거래소 B3, ETH·SOL 선물 출시

브라질 증권거래소 B3가 내달 16일(현지시간)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 선물을 출시한다고 비트코인닷컴이 보도했다. 해당 상품은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1계약당 각각 0.25 ETH, 5 SOL이다. 달러로 거래된다.

비트겟, DOOD 상장

비트겟이 오늘 22시 5분(한국시간) 두들스(DOOD)를 이노베이션, 웹3 및 NFT 존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아울러 비트겟은 상장 시점부터 16일 22시 5분까지 725만 규모 DOOD 캔디밤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해당 기간 동안 DOOD를 입금한 신규 사용자에게 에어드롭 보상이 차등 지급된다.

트럼프 "中에 80% 관세 부과 적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중국에 8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 재무장관인 스콧 베센트에게 (조절을) 맡길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대(對) 중국 관세율을 누적 145%까지 올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