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조 프로토콜, USD1 기반 온체인 펀드 출시
비트코인 유동성 금융 레이어 프로젝트 로렌조 프로토콜(Lorenzo Protocol)이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의 스테이블코인 USD1을 담보 자산으로 활용한 온체인 펀드(OTF) ‘USD1+’를 BNB체인 테스트넷에 출시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비트코인 유동성 금융 레이어 프로젝트 로렌조 프로토콜(Lorenzo Protocol)이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의 스테이블코인 USD1을 담보 자산으로 활용한 온체인 펀드(OTF) ‘USD1+’를 BNB체인 테스트넷에 출시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아크 인베스트먼트 CEO 캐시 우드가 자사 팟캐스트 ‘인 더 노우(In the Know)’를 통해 “우리는 여전히 비트코인의 강세장 속에 있다”고 말했다.
탈중앙화 AI 프로젝트 자이퍼 네트워크(Zypher Network)가 시드 라운드에서 7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체인와이어가 보도했다. 이번 라운드는 UOB벤처스와 시그넘 캐피털이 공동 주도했으며, 해시키캐피털, 홍릉 그룹, DWF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조달 자금은 영지식(ZK) 프로토콜 스택과 AI 전용 롤업 인프라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 달 안에 BTC가 12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매트릭스포트는 주간 보고서에서 "여러 기술 지표와 시장 데이터가 BTC의 낙관적 전망을 시사하고 있다. 4월 이후 BTC 현물 ETF에 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있으며, BTC 변동성도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계절적으로도 7월은 BTC 강세의 달로 평균 상승률은 9.1%다. 아울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 전환 등 거시경제적 요인도 BTC가 116,000 달러를 돌파하고, 낙관적으로는 120,000 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늘 18시 BULLA, 같은 날 18시 15분 IDOL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50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아비트럼(ARB)의 새 트랜잭션 주문 정책 타임부스트(Timeboost)가 지난 4월 도입된 이후 총 200만 달러 수익을 창출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타임부스트는 수십만 건의 고빈도 디파이 트랜잭션을 처리했으며, 아비트럼 내 탈중앙화 거래소(DEX) 일일 거래량의 20~30%가 해당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2011년 한 주소에서 각각 10,000 BTC를 받은 뒤 휴면 상태였던 두 개 주소가 오늘 활성화됐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블록체인닷컴 데이터에 따르면 2011년 4월 3일(현지시간) 익명의 주소(1HqXB로 시작)는 23,377.83 BTC를 각각 세 개 주소로 이체했다. 두 개 주소에는 10,000 BTC를, 나머지 한 개에는 3,377.83 BTC를 이체했다. 3,377.83 BTC를 보유했던 지갑은 2011년 보유 물량을 모두 이전시켰으며, 나머지 두개 지갑은 14년 동안 휴면상태를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BTC 가격은 13,982,800% 상승, 총 7800 달러가 21억8000만 달러 가치를 지니게 됐다. 더블록은 "해당 주소의 이체 사유, 보유자 신원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업비트와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스트라이크(STRIKE)를 거래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고 공지했다. 스트라이크(STRIKE)는 가상자산의 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사항에 대한 공시 운영이 미흡했으며, 투자자 보호를 위한 방안 및 대응 과정의 미진한 부분이 확인되어 거래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오늘 16시부터 STRIKE 입금이 일시 중단된다.
웨일 얼럿에 따르면, 5억 XRP가 익명의 주소에서 락업 해제됐다.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26% / 숏 49.74% 1.바이낸스: 롱 50.86% / 숏 49.14% 2.바이비트: 롱 49.1% / 숏 50.9% 3.게이트아이오: 롱 49.6% / 숏 50.4%
코인원이 오는 7일 12시 팬시(FANC)을 원화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비트코인이 지난 사이클(2020)과 유사한 움직임을 보인다면, 3개월 내 상승장이 끝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렉트 캐피털은 "지난해 4월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550일이 경과한 시점인 오는 10월이 사이클 정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선 이번 상승장이 과거 사이클과 달리 2026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 반감기 패턴을 완전히 무시한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0일 18시 폴리곤 에코시스템 토큰(POL) 네트워크(메인넷)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인해 POL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고 공지했다.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7일 18시 스토리(IP)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IP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고 공지했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9,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8,990.0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가 폴리곤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 지원에 따라 10일 18시부터 폴리곤에코시스템(POL), 스테픈(GMT), Polygon 네트워크 기반 NFT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BTC 가격이 10.8만 달러를 하회할 경우 약세 추세로 전환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크립토 애널리스트 다안크립토트레이드(Daan Crypto Trades)는 "이번 BTC 사이클의 조정 국면은 이전 사이클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체, 하락, 다시 회복, 그리고 다시 상승하는 패턴을 따르고 있는데, 명확한 돌파와 상승 지속 흐름이 부족하다. 이런 가운데 BTC가 10.8 달러 지지선을 방어하지 못한다면 다시 가격이 10만 달러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14.3년 BTC 휴면 주소가 활성화됐다고 웨일 얼럿에 전했다. 해당 주소는 약 10,000 BTC(10.9억 달러)를 보유 중이다.
갤럭시디지털 주소가 7시간 전 코인베이스에서 400 cbBTC(4379만 달러)를 출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해당 주소는 현재 2,143 cbBTC(2억 3463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싱가포르가 이번주 런던에서 열린 '영국-싱가포르 금융' 대화를 통해 실물자산 토큰화 및 인공지능(AI)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특히 영국은 싱가포르 주도 실물자산 토큰화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가디언을 지속 추진하기로 합의했으며, 국가 간 토큰화 자산 거래의 기술적 및 규제적 장벽을 낮추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