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샤프링크 CEO "OKX에 ETH 입금 주장, 사실과 달라"

ETH에 전략 투자 중인 나스닥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의 CEO 매트 쉐필드(Matt Sheffield)가 X를 통해 OKX 매도 정황에 반박했다. 그는 "OKX거래소로 1447만 달러 상당의 ETH를 입금했다는 아캄측의 게시글은 우리와 상관이 없다. 우리측 지갑이 아니며 지갑의 라벨링이 잘못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온체인렌즈는 아캄측 데이터를 인용해 샤프링크 게이밍 추정 주소가 1447만 달러 상당의 ETH를 OKX에 입금했다고 전한 바 있다.

샤프링크 CEO "OKX에 ETH 입금 주장, 사실과 달라"

ETH에 전략 투자 중인 나스닥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의 CEO 매트 쉐필드(Matt Sheffield)가 X를 통해 OKX 매도 정황에 반박했다. 그는 "OKX거래소로 1447만 달러 상당의 ETH를 입금했다는 아캄측의 게시글은 우리와 상관이 없다. 우리측 지갑이 아니며 지갑의 라벨링이 잘못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온체인렌즈는 아캄측 데이터를 인용해 샤프링크 게이밍 추정 주소가 1447만 달러 상당의 ETH를 OKX에 입금했다고 전한 바 있다.

데이터 "비트코인, 11월 현재 수익률 -6.5%"

8일 기준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올해 11월 누적 수익률은 -6.5%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기간 역사적 평균 수익률은 +41.98%에 달하며, 지난 12년간 11월 중 8번은 수익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 $3.7억 BTC 이체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 오웬 건던(Owen Gunden)이 15시간 전 3,600.55 BTC(약 3억 7천만 달러)를 이동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500 BTC(약 5,168만 달러)는 이미 크라켄 거래소에 입금됐으며, 나머지 약 3,100.55 BTC(약 3억 2,046만 달러)도 향후 며칠 내 같은 거래소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됐다.

폴리마켓 베팅 “美 정부 셧다운, 11월16일 이후 해제될 확률 59%”

예측시장 폴리마켓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운영 중단)이 11월 16일 이후에 해제될 확률이 약 59%로 집계됐다. 이외에 11월 8일~11일 사이 해제될 확률은 약 9%, 11월 12일~15일 사이 해제될 확률은 약 31%로 나타났다.

BTC $102,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2,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1,988.0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서 헤이즈 "내 포트폴리오서 BTC 다음으로 ZEC가 비중 가장 커"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비트멕스 설립자 아서 헤이즈가 "가격 급등으로 인해 ZEC가 현재 맬스트롬 포트폴리오 내 BTC 다음으로 큰 유동 자산이 됐다"고 밝혔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1.4억, 청산 비율: 롱 57.99%% ETH 청산 규모: $1.3억, 청산 비율: 숏 60.41% ZEC 청산 규모: $6062만, 청산 비율: 숏 70.5%

바이낸스, JCT 무기한 선물 상장

바이낸스가 오는 10일 19시 30분(한국시간) JCT/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40배 레버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같은 날 19시 바이낸스 알파는 JCT를 추가한다.

분석 "BTC, 3개월 내 $25만 도달하면 악재"

BTC가 3개월 내 25만 달러까지 급등하면 이는 블로우오프탑(blow-off top, 급등 후 급락)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거시경제 분석가 멜 매티슨(Mel Mattison)은 "지금은 건강한 순환 조정 국면이다. 과열 상승은 경계해야 한다. BTC는 내년 2월 쯤 15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JP모건, $1.02억 상당 비트마인 주식 보유 중

JP모건이 ETH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 비트마인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13F-HR 보고서에 따르면 JP모건은 9월 30일 기준 비트마인의 주식 약 197만주(1.02억 달러)를 보유 중이다. 한편 현재 비트마인의 ETH 보유량은 약 324만개다.

ETH 현물 ETF도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701억원

7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 4,810만 달러(약 701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7거래일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된지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로 돌아섰다. 블랙록 ETHA에는 3,296만 달러의 순유입이 있었지만, 피델리티 FETH에서 7,223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유입분이 전액 상쇄됐다. 또 그레이스케일 ETH에서도 1,142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BTC 현물 ETF,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 전환...8,079억원

6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총 5억5,419만 달러(약 8,079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전날 6거래일 연속 순유출을 끊고 순유입으로 전환된지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로 돌아왔다. 블랙록 IBIT에서 1억 2,717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서 2억 5,666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1억 4,424만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서 1,068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1,544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BTC 현물 ETF,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 전환...8,079억원

7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총 5억5,419만 달러(약 8,079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전날 6거래일 연속 순유출을 끊고 순유입으로 전환된지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로 돌아왔다. 블랙록 IBIT에서 1억 2,717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서 2억 5,666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1억 4,424만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서 1,068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1,544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익명 트레이더, 하이퍼리퀴드서 ZEC '불타기'로 $565만 수익 중

익명의 트레이더가 지캐시(ZEC) 롱 포지션 '불타기'로 하이퍼리퀴드서 약 565만 달러의 미실현 수익을 기록 중이라고 엠버CN이 전했다. 이와 관련 엠버CN은 "해당 주소는 미실현 수익으로 계속 롱 포지션을 열어 '불타기'를 하고 있다. 그는 5일 전 평균 매수 단가 410 달러에서 ZEC 롱 포지션을 시작했지만, 현재 포지션 규모는 55,000 ZEC에 달한다. 현재 그의 평단가는 513.5 달러이며, 청산가는 500.8 달러"라고 덧붙였다. 한편 ZEC는 9월부터 지속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 1개월 상승폭은 270%를 상회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ZEC는 현재 11% 오른 619.2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자오창펑 "에릭 트럼프 만난 적 있지만 사면 및 WLFI 관련 논의 없었다"

바이낸스 설립자 자오창펑이 폭스뉴스와의 인터뷰 중 "아부다비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를 만난 적은 있지만, 사면 및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관련 어떤 협상 혹은 논의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일각에서는 아부다비에서 에릭 트럼프와의 만남이 WLFI 및 사면과 관련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완전히 사실무근이다. 당시 어떤 거래도, 논의도 없었다. 협상도 물론 없었다. 개인적으로 WLFI와 어떤 사업적 관계도 맺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트럼프가 자오창펑을 사면하자 일각에서는 로비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트럼프는 이번주 "자오창펑이 누구인지도 모르며 만난적도 없다. 자오창펑 사면은 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역시 "자오창펑의 사면은 철저한 검토를 거쳤다"는 공식 입장을 낸 바 있다.

분석 "美 셧다운 해제 시 유동성 역풍→순풍 전환...위험자산 수혜"

글래스노드 공동 설립자 얀 하펠과 얀 알레만의 X 계정 네겐트로픽이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중단)이 해제되고 정부 지출이 재개되면, 시장에 유동성이 풀리는 방향으로 전개되며 위험자산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시장의 움직임은 결국 유동성이 전부다. 지금은 정부의 셧다운 탓에 재무부 일반계정(TGA)이 목표치 이상으로 쌓여 있다. 이는 유동성 고갈을 야기해 위험자산에 단기적인 타격을 입혔지만, 정부 지출이 재개되면 이러한 상황은 빠르게 반전될 것이다. TGA에서 돈이 풀리며 유동성이 회복될 것이다. △12월 양적긴축 종료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연준 대차대조표 확대 등으로 시장에 유동성은 풍부해지며 역풍은 곧 순풍으로 바뀔 것이다. 유동성 회복은 위험자산의 반등과도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페치에이아이, 오션프로토콜에 소송 제기...'2.63억 FET 덤핑' 주장

오션프로토콜(OCEAN)이 페치에이아이(FET), 싱귤래리티넷(AGIX)와 함께 설립한 초인공지능(ASI) 얼라이언스에서 탈퇴한 가운데, 해당 이슈가 소송전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페치에이아이와 일부 토큰 보유자는 오션프로토콜과 그 공동 설립자들을 대상으로 11월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남부지방법원에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원고 측은 "오션 측은 수억 개의 OCEAN 토큰을 DAO 보상용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ASI 얼라이언스 가입 후 해당 토큰을 FET로 전환하고 덤핑해 FET 가치를 훼손하고 DAO의 거버넌스 모델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오션프로토콜이 ASI 얼라이언스를 탈퇴하며 FET 덤핑 의혹이 제기됐으며, 오션프로토콜 CEO는 이같은 의혹에 반박했다고 전한 바 있다.

페치에이아이, 오션프로토콜에 소송 제기...'2.63억 FET 덤핑' 주장

오션프로토콜(OCEAN)이 페치에이아이(FET), 싱귤래리티넷(AGIX)와 함께 설립한 초인공지능(ASI) 얼라이언스에서 탈퇴한 가운데, 해당 이슈가 소송전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페치에이아이와 일부 토큰 보유자는 오션프로토콜과 그 공동 설립자들을 대상으로 11월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남부지방법원에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원고 측은 "오션 측은 수억 개의 OCEAN 토큰을 DAO 보상용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ASI 얼라이언스 가입 후 해당 토큰을 FET로 전환하고 덤핑해 FET 가치를 훼손하고 DAO의 거버넌스 모델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오션프로토콜이 ASI 얼라이언스를 탈퇴하며 FET 덤핑 의혹이 제기됐으며, 오션프로토콜 CEO는 이같은 의혹에 반박했다고 전한 바 있다.

외신 "BTC 채단가 상승, 채굴자 생존 위협"

비트코인 채단가 상승과 가격 하락이 채굴자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채굴기 공급망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최근 비트코인 해시프라이스(hash price, 보유 해시 당 일일 예상 수익)는 PH/s 당 약 42 달러까지 떨어졌다. 채굴 업계의 주요 수익성 지표로 활용되는 해당 지표는 지난 7월 PH/s 당 62 달러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 더마이너맥은 "해시프라이스의 지속 하락에 일부 채굴자들은 채굴기 가동 중단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최근 비트코인 채굴기 시장에도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비트디어와 같은 채굴기 생산 업체는 수요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채굴기 판매 대신 자체 채굴을 선택하기도 했다. 또한 마진율 하락, 채굴기 비용 상승, 에너지 비용 상승, 경쟁 격화 등으로 인해 AI 및 고성능 컴퓨팅 데이터 센터로 전환하는 비트코인 채굴 업체들이 늘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