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나토, 중국에 50~100% 관세… 전쟁 종식 시 철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나토(NATO)가 중국에 50~100%의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 뒤 철회한다면 전쟁 종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중국은 러시아에 대한 강한 영향력과 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강력한 관세는 그 지배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나토(NATO)가 중국에 50~100%의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 뒤 철회한다면 전쟁 종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중국은 러시아에 대한 강한 영향력과 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강력한 관세는 그 지배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나토(NATO) 회원국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동의하고 실행을 시작한다면, 미국 또한 대규모 제재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이용자들로부터 3억 달러 이상을 탈취한 것으로 알려진 해커 주소가 1890만 달러 상당의 탈취금을 이용해 3,976 ETH로 추가로 스왑한 것으로 보인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암호화폐 고래 투자자인 '0xebb2'가 BTC, DOGE, PEPE, FARTCOIN에 대해 최대 레버리지로 롱 포지션을 오픈해 현재 미실현 수익 900만 달러를 기록 중이라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현재 그는 지정가 매도 주문을 설정했으며, 설정 내용은 아래와 같다. 1,250 BTC ($1억 4,500만): $117,000 - $127,000에 이익실현 7,500만 DOGE ($2,240만): $0.35 - $0.7에 이익실현 15억 kPEPE ($1,850만): $0.015 - $0.03에 이익실현 2,000만 FARTCOIN ($1,850만): $1.2 - $1.6에 이익실현
비트코인 도미넌스(시총 점유율)가 57.35%로 하락하여 2025년 1월 4일에 기록된 올해 최저치인 56.63%에 근접했다. 앞서 매트릭스포트는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의 지속적인 하락이 알트코인 시즌의 도래를 예고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코인게코(Coingecko)의 데이터에 따르면, 테더(Tether)의 USDT 스테이블코인은 시가총액 1,700억 달러를 돌파하여 현재 170,102,452,064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지난 24시간 동안의 거래량은 104,928,449,006달러를 기록했다.
세이(SEI)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 애그리게이터 케임(Kame Aggregator)이 공식 X를 통해 "보안 사고(해킹 피해)가 발생했지만, 해커와 탈취금 반환에 대한 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케임 측은 "해커 측은 탈취금 반환을 위한 우리의 제안을 수락했으며, 실제로 185 ETH를 반환했다. 해킹 피해에 노출된 사용자들을 위한 보상 계획은 곧 공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2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와 서클이 지난 30일간 127.5억 달러(약 17.77조원)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을 신규 발행했다고 코인뷰러가 전했다. 이어 코인뷰러는 "테더와 서클의 신규 발행 스테이블코인이 가져다 주는 신규 유동성은, 다음 암호화폐 대폭발(급등)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가 자신의 X를 통해 "은행은 BNB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BNB 시가총액이 스위스 은행 UBS를 추월했다는 소식을 리포스팅하며 "소규모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서, 어떤 은행이든 BNB를 도입하겠다고 하면 기꺼이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오피스에 따르면, 엘살바도르 정부가 지난 7일간 약 8 BTC를 추가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엘살바도르의 BTC 보유량은 6,318.18 BTC로 늘었으며, 현재 가치는 약 7.32억 달러 규모다. 국가 단위로는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한 엘살바도르 정부는 2022년 11월 18일부터 매일 1 BTC 매입하고 있다.
나스닥 상장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프레네틱스(Prenetics)이 매일 1BTC를 추가 매수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또 현재 프레네틱스는 228 BTC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니스는 앞서 프레네틱스가 지난 6월 2,000만 달러 상당의 BTC를 매입했다고 전한 바 있다. 당시 BTC 매입 재원은 자회사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알려졌다.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44% / 숏 49.56% 1. 바이낸스: 롱 50.3% / 숏 49.7% 2. OKX: 롱 52.02% / 숏 47.98% 3. 바이비트: 롱 50.23% / 숏 49.77%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BTC 월간 상대강도지수(RSI)가 70 부근을 기록하고 있으며, 강세장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그는 이어지는 스레드에서 "S2F 모델 기준 이번 사이클의 BTC 고점은 2025년 10월 이후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2026년이 될 수도 있다. 2024~2028년 사이클에서 S2F 모델의 BTC 가격 예측치는 약 50만 달러다. 범위는 25만~100만 달러다. 만약 이번 사이클 BTC 평균 가격이 25만 달러를 밑돈다면 S2F 모델의 정확도 측면에서 좋지 않은 결과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순진한 AI 거버넌스는 나쁜 아이디어"라며 "AI를 통한 거버넌스는 자금 탈취를 목적으로 한 탈옥 프롬프트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는 상당한 보안 리스크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단일 LLM을 직접 하드코딩하기보다 외부 LLM 보유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기회를 창출하는 '제도 설계'형 접근법이 본질적으로 더 견고한 방법"이라며 "이는 앞서 제안한 '인포파이낸스 접근법'의 핵심 개념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AI 모델 다양성을 확보하며, 인간 심사위원단의 개입으로 보안을 챙길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갤럭시디지털 리서치 총괄 알렉스 쏜(Alex Thorn)이 "미국 정부는 올해 말까지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고(SBR)를 마련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그는 자신의 X를 통해 "미국 정부가 연내 SBR을 마련하고 BTC를 공식 전략 자산으로 보유한다고 발표할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시장은 이러한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지나치게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백악관 암호화폐 자문위원회의 신임 위원장 패트릭 위트는 정부의 최우선 과제 3가지를 제시하며 BTC 비축을 언급한 바 있다.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아서 헤이즈가 카일 샤시(Kyle Chassé)와의 인터뷰 중 "자산 시장 강세는 내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6년 중반까지 경제 부양책을 강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직 대규모 '돈 인쇄'는 시작되지 않았다. 정치인들은 변화를 두려워하고, 투자 자산 시장 전반의 상승 가능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아직 강세장은 끝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약 15.5만 팔로워를 보유한 암호화폐 분석가 겸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가 "리플(XRP)의 다음 기술적 목표가는 3.6 달러"라고 분석했다. 그는 자신의 X를 통해 "바이낸스 XRP/USDT 일봉차트 기준 XRP는 최근 관측된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의 상단 추세 저항선을 유효 돌파했다.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을 감안할 때 XRP 가격은 단기적으로 3.6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30일간 26개 엔티티(주체, 기업)이 비트코인 공개 보유를 신규 발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에 따라 현재 비트코인을 공식 보유 중인 엔티티 수는 325 곳을 기록 중이다.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X의 자체 블록체인 엑스레이어(X Layer)의 총 지갑 수가 400만 개를 돌파했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12일 기준 엑스레이어의 활성 주소 수는 사상 최고치인 71,400 개를 기록하기도 했다. 현재 엑스레이어는 OKX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약 100만 달러 규모의 수수료 발생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EVM 호환 네트워크 중 BNB체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아서 헤이즈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한 다음날 '람보르기니'를 살 수 있을 정도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면, 이는 올바른 태도 혹은 사고방식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보유자들은 인내심이 더 필요하며, 최근 금값의 신고점 경신 랠리를 우려할 필요가 없다. 최근 BTC를 매수한 투자자들은 왜 가격이 아직 15만 달러에 도달하지 못하는지 투덜대지만, 2년 전 BTC를 매수했던 사람들은 지금도 웃고 있을 것이다. 통화 가치 하락을 고려해보면, 비트코인은 역대 최고의 투자 성과를 내고 있는 유일한 자산이다. 이는 금과 비교해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