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니스 나이트 라이브 - 멀린체인편 요약
지난 5월 8일 코인니스 나이트 라이브 시즌 3 제7회 멀린체인편이 진행됐다. 다음은 Jonathan(BD 및 파트너십 총괄)의 주요 답변.
멀린체인은 어떤 프로젝트인지?
멀린체인은 비트코인 기반 자산인 Runes와 Ordinals를 포함해 BTC 유동성을 디파이로 연결하는 비트코인 레이어2 플랫폼이다. 지금까지 약 260억 달러 규모의 BTC 유동성을 온체인에 브릿지했고, 이제는 단순 투자를 넘어 디파이에서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설계하고 있다.
멀린체인만의 차별점은?
멀린체인은 zkEVM 확장성, BitVM 기반 보안 모델 활용, EVM 완전 호환성을 갖춘 플랫폼이다. 또한 퍼스트 무버로서 초기부터 비트코인 생태계 내 인프라를 구축한 덕분에, 테스트넷 출시 2주 만에 메인넷으로 전환하고 50일 내에 TVL 39억 달러를 달성하는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멀린 생태계에서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는?
Solv, Avalon, Redstone, Particle, BedRock 등 주요 프로젝트가 글로벌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BTCFi 내 입지를 넓히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진출은 멀린체인이 비트코인 기반 자산을 전통 자본 시장과 연결하는 핵심 브릿지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멀린체인의 수익 모델은?
- 가스 수수료: 모든 온체인 거래 및 Surf(파생상품), Avalon(대출) 등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
- 브릿지 및 자산 랩핑: 비트코인 자산을 브릿지할 때 수수료가 발생하며, M-BTC 등 자산 랩핑과 크로스체인 유동성 공급을 통해 수익을 창출
- 게임·인프라 수익화: 드래곤버스 네오와 같은 게임, Pell Network 리스테이킹 등 온체인 활동을 통한 수익
- 런치패드 수익: BTC.Fun에서의 런칭 수수료, 민팅 수익, 거래 가스비
- 향후 스테이킹 보상 설계: MERL 토큰을 스테이킹한 사용자에게 프로토콜 수익을 일부 분배하는 구조 고려 중
MERL 토큰의 주요 활용처는?
MERL 토큰은 거래 가스 수수료로 사용되며, 곧 도입될 'MERL as Gas Compens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참여를 장려하고 네트워크 내 유동성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MERL은 거버넌스 참여, 스테이킹 및 담보 자산 등으로 활용되며 생태계 전반에서 실질적인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한국 시장에 대한 계획은?
멀린체인은 한국을 글로벌 전략의 핵심 시장으로 보고, BTCFi 내러티브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해 한국어 콘텐츠와 커뮤니티 채널을 강화 중이다. 또한 거래소·미디어와의 협업, 밋업 참여, BTC.Fun을 통한 밈코인·Runes 런칭 지원 등으로 개발자 및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의 주요 로드맵은?
멀린체인은 인프라 고도화, AI 기능 출시, BTCFi 확장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의 실질적 활용을 넓혀갈 계획이다. WBTC DAO와의 협업, PoS 업그레이드, Merlin AI Wizard 출시, MBTC 통합 강화 등이 주요 과제이며, 현재 RWA 분야 진출도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