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 $103,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3,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2,844.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3,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2,844.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MOODENG이 단기 급등 중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MOODENG은 현재 187% 오른 0.130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5월 9일 22시 5분 DOOD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이더리움(ETH)이 2400 달러선을 회복했다. 2400 달러선을 돌파한 건 지난 3월 3일 이후 처음이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ETH는 현재 24.36% 오른 240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웨일 얼럿에 따르면, OKX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200,000,000 USDT가 이체됐다. 2억 달러 규모다.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07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9.48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4,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4,000.0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주기영 크립토퀀트 CEO가 X를 통해 "두 달 전 나는 강세 사이클이 끝났다고 말했지만, 결국 내가 틀렸다. BTC 매도 압력은 완화되고 있으며 ETF를 통해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과거 BTC 시장은 매우 단순했다. 기존 고래, 채굴자, 신규 개인 투자자가 서로 자금을 주고받는 형태였다. 개인 유동성이 고갈되고 기존 고래들이 현금화를 시작하며 사이클은 정점에 이르렀고, 이를 예측하는 건 비교적 수월했다. 하지만 이제 시장은 훨씬 다양화됐다. ETF, 스트래티지 등 기관 투자자, 심지어 정부까지 BTC 매매를 고려하고 있다. 과거엔 고래들이 정점에서 현금화할 때 수익실현이 가속화되면서 가격이 하락하는 패턴을 보였지만 이제는 이러한 사이클 이론을 버려야 할 때다. 새 유동성 공급원과 거래량은 갈수록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전통 금융과의 연계로 전환기를 예고하고 있다. 이제는 기존 고래 매도세보다는 기관, ETF 자금 유입세에 집중해야 한다. 이러한 유동성이 고래 매도세를 압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시장이 새 유동성을 흡수하는 데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대부분 지표는 경계선에 머물러 있다. 현재로선 명확한 강세장 또는 약세장이라고 보기 어렵다. 내가 틀렸다고 해서 온체인 데이터가 쓸모없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망설 자작극 의혹으로 논란을 빚었던 제레브로(ZEREBRO) 설립자 제피 위(Jeffy Yu)가 그의 부모님 집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디크립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 매체를 인용해 전했다. 샌프란시스코 스탠다드는 "슬리퍼를 신고 돌아다니는 제피 위를 발견했다. 그는 자신이 개인정보 유출 및 괴롭힘으로 힘든 상황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6일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그의 사망설이 확산됐으며, 이후 그의 사망설 자작극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디크립트는 제피 위의 사망설 자작극 이후 그의 솔라나 기반 밈코인 LLJEFFY는 2000% 이상 급등하기도 했다고 부연했다.
미국 투자회사 펄펀드(The Pearl Fund)가 5억달러 규모 비트코인 투자 펀드를 조성했다고 비즈니스와이어가 전했다. 이 펀드는 미국 기회구역(OZ) 제도를 활용, 10년 이상 BTC 투자할 경우 수익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면제해주는 상품이다. 최소 투자금은 25만달러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검찰청이 암호화폐 트랜잭션 믹싱 플랫폼 eXch의 서버를 폐쇄하고 3400만 유로(3822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압수했다고 블록체인 전문가 잭XBT가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전했다. 앞서 eXch는 바이비트 해킹 등 다수의 자금 세탁에 연루됐으나 해커 주소 차단 및 자금 동결 명령을 거부해 왔다.
솔라나는 기관 투자자를 유치할 유인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더리움을 따라잡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암호화폐 은행 시그넘은 블로그를 통해 "향후 암호화폐 시장 전망은 시장 심리가 아닌 전통 금융 기관의 선택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솔라나의 수익 창출은 밈코인 분야에 지나치게 집중돼 있어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관들은 솔라나보다는 보안과 안정성을 갖춘 이더리움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솔라나는 레이어1 수수료 점유율 면에서 이더리움을 앞서고 있지만, 대부분의 수수료가 밸리데이터에게 지급되는 탓에 솔라나 토큰 자체의 가치를 높이지는 못한다. 실제로 이더리움의 수익은 솔라나보다 2~2.5배 높다"고 분석했다.
지난 5월 8일 코인니스 나이트 라이브 시즌 3 제7회 멀린체인편이 진행됐다. 다음은 Jonathan(BD 및 파트너십 총괄)의 주요 답변. 멀린체인은 어떤 프로젝트인지? 멀린체인은 비트코인 기반 자산인 Runes와 Ordinals를 포함해 BTC 유동성을 디파이로 연결하는 비트코인 레이어2 플랫폼이다. 지금까지 약 260억 달러 규모의 BTC 유동성을 온체인에 브릿지했고, 이제는 단순 투자를 넘어 디파이에서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설계하고 있다. 멀린체인만의 차별점은? 멀린체인은 zkEVM 확장성, BitVM 기반 보안 모델 활용, EVM 완전 호환성을 갖춘 플랫폼이다. 또한 퍼스트 무버로서 초기부터 비트코인 생태계 내 인프라를 구축한 덕분에, 테스트넷 출시 2주 만에 메인넷으로 전환하고 50일 내에 TVL 39억 달러를 달성하는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멀린 생태계에서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는? Solv, Avalon, Redstone, Particle, BedRock 등 주요 프로젝트가 글로벌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BTCFi 내 입지를 넓히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진출은 멀린체인이 비트코인 기반 자산을 전통 자본 시장과 연결하는 핵심 브릿지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멀린체인의 수익 모델은? - 가스 수수료: 모든 온체인 거래 및 Surf(파생상품), Avalon(대출) 등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 - 브릿지 및 자산 랩핑: 비트코인 자산을 브릿지할 때 수수료가 발생하며, M-BTC 등 자산 랩핑과 크로스체인 유동성 공급을 통해 수익을 창출 - 게임·인프라 수익화: 드래곤버스 네오와 같은 게임, Pell Network 리스테이킹 등 온체인 활동을 통한 수익 - 런치패드 수익: BTC.Fun에서의 런칭 수수료, 민팅 수익, 거래 가스비 - 향후 스테이킹 보상 설계: MERL 토큰을 스테이킹한 사용자에게 프로토콜 수익을 일부 분배하는 구조 고려 중 MERL 토큰의 주요 활용처는? MERL 토큰은 거래 가스 수수료로 사용되며, 곧 도입될 'MERL as Gas Compens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참여를 장려하고 네트워크 내 유동성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MERL은 거버넌스 참여, 스테이킹 및 담보 자산 등으로 활용되며 생태계 전반에서 실질적인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한국 시장에 대한 계획은? 멀린체인은 한국을 글로벌 전략의 핵심 시장으로 보고, BTCFi 내러티브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해 한국어 콘텐츠와 커뮤니티 채널을 강화 중이다. 또한 거래소·미디어와의 협업, 밋업 참여, BTC.Fun을 통한 밈코인·Runes 런칭 지원 등으로 개발자 및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의 주요 로드맵은? 멀린체인은 인프라 고도화, AI 기능 출시, BTCFi 확장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의 실질적 활용을 넓혀갈 계획이다. WBTC DAO와의 협업, PoS 업그레이드, Merlin AI Wizard 출시, MBTC 통합 강화 등이 주요 과제이며, 현재 RWA 분야 진출도 준비 중이다.
맵프로토콜(MAPO, 구 MAP)이 비트코인과 솔라나 네트워크 간 상호 운용성을 구현했다고 공식 X를 통해 전했다. 이용자는 두 네트워크 간 크로스체인 거래를 할 수 있다.
유니스왑 v4에서 유니체인 트랜잭션 규모가 이더리움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듄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현재 v4에서 유니체인 점유율은 약 75%로 이더리움(20% 이하)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디파이라마 기준 유니체인의 락업예치금(TVL)은 약 8억 달러 수준으로 전체 레이어2 롤업 중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늘 18시 펏지펭귄(PENGU)를 원화, BTC,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1.48% / 숏 48.52% 1.바이낸스: 롱 51.53% / 숏 48.47% 2.OKX: 롱 53.36% / 숏 46.64% 3.바이비트: 롱 51.65% / 숏 48.35%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아서 헤이즈가 X를 통해 "지금은 펀더멘털의 시대이며 클라이언트도 없고 매출도 없는 쓰레기코인들(shit coins)은 더 이상 의미 없다. 프로젝트의 수익은 토큰 바이백 및 소각 메커니즘을 통해 실현돼야 한다”고 말했다.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젝트 우네트워크(WOO)의 명칭을 우(WOO)로 변경한다고 공지했다. 티커는 기존과 동일한 WOO로 유지된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가 X를 통해 "BTC를 오래 보유하지 못하는 이유는 기술, 금융, 돌아가는 세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이 추천한다는 이유만으로 BTC를 매수했다면, 가격이 흔들릴 때 버티는 확신도 부족할 수 밖에 없다. 공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