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등 참여한 연합 ‘페이ID’ 개발
이메일 형태 계정 이용자 편의성 높여
은행, 결제·송금·전자지갑 모두 이용 가능해

오픈 페이먼트 연합(Open Payment Coalition)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범용적으로 결제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계정 ‘페이ID(PayID)’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19일 공개했다.
오픈 페이먼트 연합은 리플 등 40개 이상 글로벌 기업과 비영리 기관 글로벌 기업 및 비영리 기관이 결성했다.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코인원도 오픈 페이먼트 연합의 참여사 중 하나다.
결제용 오픈 소스 페이ID는 기존 금융 시스템에 핀테크 기술을 접목했다. 리플에 따르면 모든 기업을 통합할 수 있는 표준을 제시한 것은 세계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은행·결제 및 송금 서비스 제공업자·전자지갑 서비스 공급자 등 누구나 페이ID를 이용할 수 있는 이유다.
페이ID를 통해 기업은 보다 많은 네트워크와 소비자에 접근할 수 있다. 각국 법정 통화뿐만 아니라 디지털 자산 거래 등에도 활용할 수 있어 사업 확장성도 높아진다. 페이ID를 통해 대형 금융기관·글로벌 비영리 기관·모빌리티 앱·인터넷은행기업 등 업계 전반에 요구하는 보안·개인 프라이버시 확보 방안도 통합할 수 있다.
또 페이ID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방식의 트래블 룰 준수 방안을 제공한다. 트래블 룰이란 거래자 신원 정보 제출 의무화 규제를 말한다. 이를 통해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 범죄 단속 네트워크인 핀센(FinCEN)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페이ID는 이메일 형태로 구성해 기존 은행 계좌나 라우팅 번호보다 이용자 편의성이 높다. 이메일 형태 ID는 모든 금융기관에 적용 가능하다. 기존에 서로 다른 은행이나 금융 앱을 사용하는 이들끼리 계정 간 통일성이 없어 겪었던 불편을 덜었다.
이던 비어드(Ethan Beard) 리플 엑스프링 수석부사장은 “차세대 결제 네트워크는 인터넷 웹사이트처럼 모든 기업이 네트워크 망 내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만으로 참여할 수 있는 오픈형이어야 한다”며 “페이ID가 바로 결제용 오픈 네트워크 구축의 시작”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코인원 차명훈 대표는 “페이ID는 송금 과정을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우리의 금융 일상에 큰 혁신을 일으킬 솔루션이기에 코인원 또한 파트너사로서 페이ID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동일 기자 j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