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S "국제 CBDC 거래 플랫폼, 본격 상용화 추진"
국제결제은행(BIS)이 국제 CBDC 거래 플랫폼 '엠브릿지(mBridge)'의 글로벌 확장과 상용화 의지를 밝혔다. 이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에서 본격적인 실험을 준비한다. 에디 유 홍콩 통화청(HKMA) 총재는 25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행사 연설에서 "엠브릿지를 통한 CBDC 거래의 효율성이 확인된 이상 본격적인 엠브릿지의 상용화를 고려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상용화 실험에 합류할 기관들을 추가 유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엠브

서클 CEO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 큰 성장 이룰 것"
스테이블 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의 CEO가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의 큰 성장 가능성을 지목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컨버지 22 컨퍼런스에 참석한 제레미 알레어 서클 CEO는 중국 정부의 암호화폐 금지 정책에 따라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이 큰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암호화폐 금지 정책에도 중국은 독자적인 암호화폐 전략을 갖고 있다"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중국 정부에게 위안화 연동 스테

중국은행, 홍콩서 359억원 이더리움 블록체인 어음 발행
전세계 은행 시가 총액 9위의 중국은행(Bank of China)이 스위스 투자은행 UBS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약 2억위안(359억4400만원) 규모의 어음을 발행했다. UBS는 10일 공식 성명을 통해 중국은행의 국제 부문 자회사 '중국은행 인터내셔널(BOCI)'과 협력해 홍콩에서 2억위안의 블록체인 어음을 발행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어음 발행은 중국 금융기관 최초의 블록체인 발행 어음이다. UBS는 오랜 기간 자산 토큰화 사업을 확장해왔으며 이를 기

[단독]BSN, 親 크립토 4개국 순방···목표는 'BRICS+' 기축통화?
중국 정부 운영 블록체인 인프라이자 디지털 위안화(e-CNY) 유통망 '블록체인서비스네트워크(BSN)'가 'BRICS+'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SN이 29일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 아라비아, 싱가포르를 순방, 왕성한 영업 활동 소식을 공개했다. 앞서 BSN은 이스탄불을 시작으로 열 흘 간 두바이, 리야드, 싱가포르에 이르는 국제 네트워킹 행사 출범 소식을 16일 발표했다. BSN은 해당 여정에 대
![[단독]BSN, 親 크립토 4개국 순방···목표는 \'BRICS+\' 기축통화?](https://img.blockstreet.co.kr/photo/2022/09/29/20220929000003_0700.png)
중국과 비트코인의 '질긴' 인연, 과연 그 미래는?
# 중국, 암호화폐 전면 금지에도 '이변'을 연출하다 중국 정부의 전면적인 암호화폐 금지 정책에도 중국이 암호화폐와의 '끊어지지 않는'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16일 발표한 보고서 '2022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지수'에 따르면 중국은 암호화폐 채택률 10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6월, 중국 정부는 암호화폐 거래소, 채굴장들에 대한 전면적인 폐쇄 조치를 감행했다. 중국 정부의 방침은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

The Fall of Dollar Amid Inflation, So What About the Currency of the New Era?
The reorganization of the global situation triggered by the Russian-Ukraine war seems to be signaling the end of the 'era of dollars'. The dollar has been a 'world reserve currency' for about 70 years under the reputation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been reborn as a World War II winner. After World War II, the path for the United States was clear. The United Stated has been existed as the leader of world financial system based on the absolute millitary power they'd achived through the wars. The United States has led global finance for more than

David Kim(Kim, Do-yeon), Head of BSN Korea & Metaverse Society
Countries such as the UK, Singapore, and Dubai are claiming to be "blockchain hub" by making every effort to foster and attract blockchain technology. The competition to be 'blockchain hub' has been intensifying as appearing of national-level coalitions beyond companies. The national-level coalitions have been working for increasing their global market share in blockchain industry. Amid the fierce competition, the emergence of the "digital yuan" at the 2022 Beijing Winter Olympics make them surprised and shocked. Since 2022 Beijing Winter Olympics, global interest

'新 냉전' 시대 속 대한민국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
대만이 전쟁의 위험 속에 처하며 세계사가 또다시 혼란에 빠져들었다. 8월 3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이 '기폭제'가 됐다. 펠로시의 대만 방문을 근거로 다음 날인 4일, 중국이 대만을 포위한 군사훈련을 시작하며 위태로운 상황에 처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미국, 중국, 러시아가 주축으로 참여한 '신냉전'으로 해석하고 있다. 신냉전 시대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주축 세력 간 군사적 대립 뿐만 아닌 주축 세력들 간 산업 및 금융 분야에서 일

中 국영 블록체인 BSN, 업데이트 핵심내용 공개
중국 정부 운영 블록체인 인프라 '블록체인서비스네트워크(BSN)'가 31일 예정된 업데이트 핵심 내용을 공개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BSN은 오는 8월 31일 포털사이트를 최적화 한다. 동시에 대체불가토큰(NFT) 기술을 적용한 BSN분산디지털인증서(BSN-DDC) 네트워크를 업데이트하고, BSN 스파르탄 네트워크를 출시할 예정이다. ◇해외 확장 돌입…스파르탄 네트워크=BSN은 스파르탄 네트워크를 출시하고 BSN 재단의 국제 포털

중국 주도 블록체인, 이더리움보다 NFT 거래량 많다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블록체인서비스네트워크(BSN)의 대체불가토큰(NFT)이 이더리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BSN은 BSN 포털을 총해 개발자와 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DApp, 디앱)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배포·관리 서비스다. BSN은 최근 "2022년 6월 29일 기준 BSN 네트워크 거래량이 전 세계적으로 이더리움의 거래량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BSN분산디지털인증서(BSN-DDC) 네트워

中 법원 "USDT 급여 지급, 허용할 수 없다"···USDT 활용성 봉쇄
중국이 미 달러와 연동성을 가진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성을 봉쇄하고 나섰다. 6일 베이징 데일리는 중국 베이징의 차오양구 인민법원이 테더(USDT)를 급여 지급에 사용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법원은 판결문을 통해 테더와 같은 암호화폐의 중국 시장은 허용되지 않으며 중국 모든 고용주는 위안화를 사용해야한다는 뜻을 밝혔다. 이번 재판은 중국 내 블록체인 업체 고용주가 급여를 위안화로 지급하지 않았다는 사안으로 직원이 고

BSN 이사 "BTC는 '폰지 사기'···USDT·USDC는 인정"
중국의 이판 허(Yifan He) 레드데이트테크놀로지 최고경영자(CEO)가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대다수의 암호화폐는 폰지 사기라고 밝혔다. 26일(현지시간) 중국 국영 블록체인 네트워크망 'BSN(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개발협회 이사 이판 허(Yifan He) 레드데이트테크놀로지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국영 매체 인민일보에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는 폰지 사기"라는 내용의 아티클을 게재했다. 인민일보에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