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블록체인 도입 빨라진다…디파이 서비스 관심↑

블록스트리트 등록 2020-08-31 16:28 수정 2020-08-31 16:28

‘가상자산금융협회’ 일부 은행 참여
IBM, 은행 디파이 서비스 도입 전망
DID 넘어 탈중앙 금융 주목 높아져

은행권, 블록체인 도입 빨라진다…디파이 서비스 관심↑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은행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DID 도입을 넘어 디파이 서비스 제공으로 은행권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금융협회(가칭)는 9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과 함께 디파이 관련 세미나를 진행한다. 협회엔 해시드와 디지털자산 관련 기업, 일부 은행이 참여한다. 해당 협회는 추후 디지털자산 진흥법 발족 등의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디파이란 탈중앙화 금융으로 은행 등 중앙기관이 아닌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금융서비스를 말한다. 최근 특금법 통과로 디지털자산이 국내에서 자산으로 인정받게 되면서 디파이에 대한 국내 관련 업계의 관심은 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자산·블록체인 업체를 넘어 은행권의 관심 역시 높아지는 추세다.

이런 흐름에 주목해 IBM은 이달 초 은행의 디파이 서비스 도입을 돕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니틴 가워 IBM 금융서비스·디지털자산 부문 총괄은 지난 11일(현지시각) 코인텔레그래프를 통해 “은행들은 현재 진행 중인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디파이를 받아들이고 이해해야 한다”며 투자은행을 중심으로 대형 은행들이 디파이 서비스를 도입할 것이라 전망했다.

디파이를 도입할 경우 은행은 금융 서비스를 자동화하고 기존 법정화폐 뿐만 아니라 디지털자산으로도 서비스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정부 역시 디파이 관련 연구에 나섰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 18일 디파이 조사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조사’ 입찰 공고를 나라장터에 냈다.

하지만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선 은행권의 디파이 도입이 시기상조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아직 디파이 서비스는 불안정한 상태”라며 “유동성 풀 등을 조작할 수 있어 트레이더 들이 수익을 보는 식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며 우려를 보였다. 이어 “커스터디 사업 등은 적합해보이지만 현재로서 중앙화된 금융 사업에서 디파이 서비스를 끌고갈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은행권은 DID(분산신원증명) 등 신원인증 분야에 블록체인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는 추세다. 실제로 신한은행은 지난 26일 DID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함께 서비스 제공을 맡은 아이콘루프는 올해 안에 NH농협은행·IBK기업은행 등 77개 파트너 기관과 기업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카드 발급시간 단축을 위해 고려대학교와 함께 학생증 발급 절차에 블록체인 플랫폼 ‘원큐렛저’를 접목하는 서비스를 올해부터 제공 중이다.

KB국민은행의 경우 DID를 넘어 디지털자산 관련 서비스를 검토 중이다. 해치랩스·해시드·컴벌랜드코리아 등과 기술협력을 맺고 디지털자산 스테이킹 등 신사업 발굴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주동일 기자 jdi@